치료지원
목적
- 특수교육대상자의 생활적응 능력 향상 및 2차 장애 예방
- 치료지원 대상자 진단평가, 사설 치료실 점검을 통한 관리 강화
대상
- 유(만3세 이상 어린이집 재원생 포함), 초, 중, 고, 특수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중 치료지원대상자로 선정된 학생
내용
- 치료지원대상자 진단‧평가 및 치료지원 영역·서비스 종료 결정
- 치료전자카드 관련 업무 수행
- 사설치료실 기본요건 및 현장 점검, 명단 파악, 관리
- 관내 조사를 토대로 활용가능 치료지원 영역 안내
치료지원 제공 기관
치료지원 제공기관 조회: http://dge.nhdream.co.kr
절차
- 학교: 개별화교육지원팀(개별화교육지원팀장, 보호자, 특수교육교원, 일반교육교원,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담당 인력 등으로 구성) 심의
- 특수교육지원센터: 치료지원 전담팀(장학사, 특수교사, 치료사, 관련학과 교수, 의사(보건교사) 등으로 구성) 심의
업무담당자
- 치료지원: 변성문(231-3957)
- 동부특수교육지원센터 태은나(232-0047)
- 서부특수교육지원센터 이준우(233-0067)
- 남부특수교육지원센터 김민영, 안선옥(234-0167)
- 달성특수교육지원센터 서정란(235-0046)
최근 업데이트 일시 : 2022-03-04
- 담당부서
- 유아특수교육과
- 담당자
- 박경희, 이재인, 남인숙, 정은희
- 연락처
- 053-231-3957, 3958, 3952, 3961